Home Blog
배달어플 1위를 유지하던 '배달의민족'이 요금체계를 변경한다는 발표는 소비자들에게 비난을 받으며 사과와 함께 철회하였습니다. 소비자들은 '배달의민족' 어플을 삭제하는 등 불매운동을 펼치고 있으며, 정부는 배달의민족의 독주를 막기 위해 '공공배달앱'을 만들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정부가 나서서 시장을 규제하는 이번 사태가 과연 득일까요? 아님 과도한 규제로 인한 실이 될까요?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TEXTOM을 이용하여 분석해보았습니다.
▶ 수집 기간: 2020.04.01 ~ 2020.04.16
▶ 수집 채널: 네이버 (뉴스/ 뉴스댓글)
▶ 키워드: 공공배달앱
▶ 수집 도구: 텍스톰(Textom)
▶ 분석 도구: 텍스톰(Textom)
▶ 수집 데이터량: 11,286건 ( 네이버 뉴스 : 1,014건/ 네이버 블로그 : 10,272건)
1. 뉴스 채널 분석 결과
* 배달의 민족(노란색), 소비자·자영업자 반응(빨간색), 공공배달앱(파란색), 인물(초록색)으로 키워드 구분
30개의 키워드들을 카테고리별 분류 결과, 배달의 민족 수수료 체계 변경 이슈 관련 키워드(노란색) 9개, 인물 키워드(초록색) 2개, 공공배달앱 관련 키워드(파란색) 7개, 소비자 및 자영업자 반응 키워드(빨간색) 7개가 나타났습니다.
(배달의민족·수수료·소상공인·자영업·소비자·인상·사과·오픈서비스·정률제) 배달의 민족에서 4월 1일 수수료 중심 정률제 광고상품 ‘오픈서비스’적용을 시작하면서, 배달의 민족의 국내 배달 앱 시장 독점과 횡포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 되었다는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께, 자영업자, 소비자들의 거센 비판이 일어나자 배달의 민족에서는 오픈서비스의 전면 백지화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재명·안철수) 이재명은 공개적으로 배달의 민족을 비판하고, 소상공인을 위한 공공배달앱을 만들 것이라고 발표하여 이슈가 되었음. 이에 안철수는 배달의 민족이 독과점 지위를 이용해 수수료 이득을 취하려 한다면 관련 기관과 공정거래법상의 제재를 통해 시정을 해야지, 지자체가 대중의 감성을 건드려 공공 앱을 만들자고 나서는 것은 시장 영역 침범이라는 비판을 하였습니다.
(군산·배달의명수·지자체·경기도·광고료·상생·광진나루미) 이번 배달의 민족 이슈로 인해 군산의 배달의명수, 광진구의 광진나루미 등 지자체 공공배달앱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였습니다.
(독과점·횡포·비판·부담·반발·불공정·불매) 배달의 민족 오픈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은 “독과점이다”, “불공정하다”, “배달의 민족 삭제할 것” 등 부정적 여론을 보였습니다.
2. 뉴스 댓글 분석 결과
*시장 개입 관련 키워드(빨간색), 세금 관련 키워드(파란색)으로
유사한 키워드가 나타난 한편, 댓글 채널에서는 키워드 분석 결과 ‘공산주의’, ‘자본주의’, ‘개입’, ‘규제’ 등의 키워드가 나타나, “지자체의 시장 개입이 적절한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또한, 지자체의 공공배달앱 개발에 대해 소상공인 간편결제 서비스인 제로페이를 실폐 사례로 들면서 세금 낭비 우려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G1) 그룹 1에서는 배달의 민족 오픈서비스가 수수료 인상을 야기한다는 논란과 관련해 ‘자영업’, ‘힘들다’, ‘수수료’, ‘부담’ 등의 키워드가 나타났습니다.
(G2) 그룹 2에서는 지자체의 시장개입이 자본주의 체제에서 적절한가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졌습니다. 공정위, 공정거래법과 같이 관련 기관이 관련 법으로 처리하는 게 적절하며, 지자체가 이에 개입하는 것은 과도한 시장 규제라는 시각과 배달 시장에서의 약자일 수밖에 없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을 위해 지자체가 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적절하다는 시각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G3) 해당 그룹에서는 배달의 민족에 대한 비판인 배신의 민족 키워드와 함께 공공배달앱인 군산의 배달의 명수 키워드가 나타나 해당 앱들에 대한 비교가 주로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